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리포트

트럼프 관세 부활, 한국에도 영향 있을까?

by 핫팩트 2025. 4. 9.
반응형

트럼프 관세 부활, 한국에도 영향 있을까?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대선 캠페인을 본격화하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활을 공식화했습니다. 미국은 이미 2025년 초부터 일부 대중국 제품에 대해 최대 60%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이 조치는 점차 다른 국가들로도 확장될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다시 시작됐다

2025년 현재,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선 유세 중 “미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다시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산 전자제품,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에 고율 관세가 부과되었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에도 긴장감이 돌고 있습니다.

한국은 관세 대상인가?

현재까지 대한민국은 직접적인 고율 관세 대상국은 아닙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은 주로 중국을 겨냥하고 있으며, 한국과는 자유무역협정(FTA)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부 산업군에서는 간접적인 여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접적인 영향: 배터리, 철강, 반도체

특히 한국산 2차 전지(배터리)철강제품, 반도체 장비 등이 중국을 경유하거나 중국산 원자재를 사용하는 경우, 미국의 수입규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에 있는 하청 공장에서 조립된 부품을 수출하는 경우, 중국산으로 분류되어 미국에서 관세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내 보호무역 기조 강화로 인해 현지 생산 확대 압박이 커질 수 있으며, 이는 한국 기업들의 투자 전략에 변화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의 방향

트럼프는 향후 모든 국가에 일률적 10%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는 한국과 같은 동맹국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어, 무역 환경이 불확실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가전, IT 산업 등은 수출 중심 산업 구조를 가진 한국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야입니다.

정리

현재까지 트럼프 관세 정책의 직격탄은 중국에 집중되어 있으나, 한국 역시 무역 의존도가 높아 향후 불똥이 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변화하는 통상 정책에 대비해 공급망 다변화 및 미국 내 투자 확대 전략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 본 글은 2025년 4월 9일 기준의 공개된 통상 정보와 외신 보도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