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편] 실업급여 지급 기간과 조건별 차이점

by 핫팩트 2025. 4. 17.
반응형

 

[4편] 실업급여 지급 기간과 조건별 차이점

“실업급여는 총 몇 개월 동안 받을 수 있나요?” 실업급여는 하루 이틀 받는 게 아니라 최소 120일~최대 270일까지 받을 수 있어요. 근속기간이 길거나 나이가 많을수록 더 오래 받을 수 있답니다.

1.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실업급여는 이직 당시 나이 + 고용보험 가입기간을 기준으로 지급일수가 결정돼요. 아래 표를 보면 쉽게 이해돼요.

2. 2025년 기준 지급 기간 표

고용보험 가입기간 30세 미만 30세 이상 ~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이상 ~ 3년 미만 120일 150일 180일
3년 이상 ~ 5년 미만 150일 180일 210일
5년 이상 ~ 10년 미만 180일 210일 240일
10년 이상 210일 240일 270일

3.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기

예를 들어, 나이가 32세이고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4년이라면? 👉 해당하는 구간은 “3년 이상 ~ 5년 미만” + “30세 이상 ~ 50세 미만” 👉 그래서 총 180일 (약 6개월) 동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

4. 실업급여는 매달 나오는 게 아니에요!

실업급여는 월급처럼 고정된 날짜에 입금되는 게 아니라, 실업인정 받을 때마다 지급돼요. 대부분 2주~4주 간격으로 한 번씩 인정받고, 그때그때 들어오죠.

5. 중간에 재취업하면?

지급 기간 도중에 재취업하게 되면 남은 실업급여는 중단돼요. 하지만! 조기취업수당이라는 혜택이 따로 주어지니까 손해만 있는 건 아니에요 😄 이건 다음 편에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요약 정리

  •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120일~270일
  • 나이와 근속기간이 길수록 더 오래 받을 수 있어요
  • 월급처럼 정기지급이 아닌, 실업인정 주기마다 지급!
  • 중간에 취업하면 중단되지만, 다른 혜택도 있어요

다음 편에서는 실업급여 수급 중 주의할 점많이들 실수하는 사례를 알려드릴게요. 놓치면 안 되는 꿀팁 가득!

👉 다음 글 보기: [5편] 실업급여 수급 중 주의사항과 실수 방지 팁
👈 이전 글 보기: [3편]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 (2025년 기준)

반응형